<성경 속에 위인전> 삼손의 죽음
장지원
블레셋 사람의 방백들이 이르되
우리의 신이¹ 우리 원수 삼손을 우리 손에 넘겨 주었다 하고
다 모여 그들의 신 다곤²에게 큰 제사를 드리고 즐거워하고
백성들도 삼손을 보았으므로 이르되
우리의 땅을 망쳐 놓고
우리의 많은 사람을 죽인 원수를
우리의 신이
우리 손에 넘겨 주었다 하고
자기들의 신을 찬양하며
그들의 마음이 즐거울 때에 이르되
삼손을 불러다가 우리를 위하여 재주를 부리게 하자 하고
옥에서 삼손을 불러내매
삼손이 그들을 위하여 재주를 부리니라
그들이 삼손을 두 기둥 사이에 세웠더니
삼손이 자기 손을 붙든 소년에게 이르되
나에게 이 집을 버틴 기둥을 찾아 그것을 의지하게 하라 하니라
그 집에는 남녀가 가득하니
블레셋 모든 방백들도 거기에 있고
지붕에 있는 남녀도 삼천 명 가량이라
다 삼손이 재주 부리는 것을 보더라
³삼손이 여호와께 부르짖어 이르되
주 여호와여 구하옵나니
나를 생각하옵소서
하나님이여 구하옵나니
이번만 나를 강하게 하사
나의 두 눈을 뺀 블레셋 사람에게 원수를 단번에 갚게 하옵소서 하고
삼손이 집을 버틴 두 기둥 가운데 하나는 왼손으로 하나는 오른손으로 껴 의지하고
삼손이 이르되
블레셋 사람과 함께 죽기를 원하노라 하고
힘을 다하여 몸을 굽히매
그 집이 곧 무너져
그 안에 있는 모든 방백들과 온 백성에게 덮이니
삼손이 죽을 때에 죽인 자가 살았을 때에 죽인 자보다 더욱 많았더라
그의 형제⁴와 아버지의 온 집이 다 내려가서
그의 시체를 가지고 올라가서
소라와 에스다올 사이
그의 아버지 마노아의 장지에 장사하니라
삼손이 이스라엘의 사사로 이십 년 동안 지냈더라
<노트> 사사기 16장23-31절은 삼손의 죽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의 신이¹: 대부분의 고대 국가들에서는 승리를 그들의 국신(國神)의 능력 덕분에 얻었다고 여겼다.
다곤²; 이 이방 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많지 않다. 그 이름의 뜻에 대해 의견이 분부하다. 이것은 “곡물”을 뜻하는 히브리어이자 가나안어인 다간(dagan)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 그렇다면 다곤은 블레셋의 여러 농신(農神) 가운데 하나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 이름은 “물고기”를 뜻하는 다그(dag)의 파생어일 수도 있다. 아스글론이라는 블레셋 성읍에서 반인반어(半人半漁)로 묘사된 신의 형상이 새겨진 주화가 발굴된 사실을 통해 두 번째 설명을 수용하게 된다. 다곤의 머리와 손에 대한 어급이 삼상 5;4에 있다.
³삼손은 여기서 하나님의 세 가지 다른 이름 즉 아도나이(Adonay), 야훼(Yahw), 에로힘(Elohim)을 연이어 사용하였다. 이것은 기자가 삼손의 기도에 대하여 두 번째로 언급한 것이다. 그가 두 경우에서만 기도했다고 결론지을 필요는 없지만, 만약 기도가 그의 일상 습관 이상이었다면 그는 이러한 수치와 굴욕을 면하고 하나님이 그를 위해 계획한 위대한 뜻을 이루었을지도 모른다.
그의 형제⁴: 삼손에게 형제가 있었다는 유일한 암시다. 한나처럼 마노아와 그의 아내도 삼손을 낳은 후에 다른 자녀들을 낳았을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그의 가장 가까운 친인척을 가리키는 말일 수 있다. 부계 남자 친척들일 것으로 보이는 그들은 삼손이 죽었다는 소식을 접하자, 가사로 와서 그의 시신을 고향으로 옮겨 갔고 그의 아버지가 장사 된 곳에 묻었다. 사울의 시신과 관련된 블레셋 사람들의 태도와 대조해 보라(삼상 31:10-130.
2025.2.4
'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 속에 위인전> 미가와 단 지파/장지원 (0) | 2025.02.06 |
---|---|
<성경 속에 위인전> 미가의 신상/장지원 (0) | 2025.02.05 |
<성경 속에 위인전> 삼손과 들릴라/장지원 (0) | 2025.02.03 |
<성경 속에 위인전> 블레셋 인 천명을 죽인 삼손/장지원 (1) | 2025.01.31 |
<성경 속에 위인전> 블레셋 사람의 곡식을 불사른 삼손/장지원 (0) | 2025.01.24 |